1️⃣ 왜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이 바뀌었을까?
비행기 탑승 시 필수품인 보조배터리, 이제는 반입할 때 더욱 신경을 써야 합니다. 2025년 3월부터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이 한층 강화되었기 때문입니다.
📌 규정 변경의 배경은?
최근 보조배터리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로 인해 국제 항공 안전 기준이 조정되었습니다. 특히 기내 선반(오버헤드빈)에 보조배터리를 보관할 경우 화재 위험이 높아진다는 점이 지적되면서 보관 및 반입 기준이 변경되었습니다.
그렇다면, 새롭게 바뀐 반입 기준은 무엇이며, 어떤 사항을 주의해야 할까요?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2️⃣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기준 – 100Wh, 20000mAh 제한
국제항공운송협회(IATA)와 국토교통부의 새 규정에 따라 보조배터리 반입 가능 용량과 개수가 제한됩니다.
💡 보조배터리 반입 가능 기준 (2025년 3월 시행)
📌 대부분의 일반적인 보조배터리는 100Wh 이하(10,000mAh~20,000mAh)에 해당되므로 최대 5개까지 반입 가능합니다. 하지만, 30,000mAh 이상 배터리는 항공사 승인이 필요하므로 사전에 확인해야 합니다.
💡 보조배터리 Wh 계산 방법
Wh(와트시) = 배터리 용량(mAh) × 전압(V) ÷ 1000
예) 20,000mAh × 3.7V ÷ 1000 = 74Wh → 기내반입 가능! ✅
🚫 3. 기내수화물과 위탁수화물 차이 & 주의사항
보조배터리는 반드시 기내수화물로 휴대해야 하며, 위탁수화물(캐리어)에 넣으면 안 됩니다!
🔸 왜 위탁수화물 반입이 금지될까?
👉 리튬 배터리는 외부 충격을 받거나 온도가 높아질 경우 발화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.
👉 보조배터리를 캐리어에 넣으면 보안 검색대에서 다시 꺼내야 할 수도 있으니 주의하세요
4️⃣ 보조배터리 반입 시 유의사항 – 안전한 보관 방법
🔎 안전한 보관 방법 3가지
✅ 비닐팩 개별 포장: 각 배터리를 지퍼백 또는 파우치에 개별 보관
✅ 단자 테이핑: 보조배터리 금속 단자 부분에 절연 테이프 부착
✅ 보호캡 사용: 노출된 단자가 있는 배터리는 보호캡 씌우기
💡 이 규정을 지키지 않으면 공항 보안 검색대에서 추가 검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!
🚨 5. 기내 보관 및 사용 규정
🔥 기내 선반 보관 금지!
✅ 보조배터리는 반드시 몸에 지니거나 앞좌석 주머니에 보관해야 합니다.
✅ 기내 선반(오버헤드빈) 보관은 화재 위험이 있어 금지되었습니다.
💡 기내에서 보조배터리 사용 가능할까?
✅ 스마트폰, 태블릿 충전은 가능하지만 충전 후 반드시 안전하게 보관해야 합니다.
🚫 기내 전원을 이용해 보조배터리를 충전하는 행위는 금지됩니다.
2025년 3월부터 강화된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을 꼭 숙지하세요!
📌 100Wh 이하 보조배터리는 최대 5개 반입 가능!
📌 보조배터리는 반드시 기내에 휴대, 위탁수화물 반입 금지!
📌 배터리 단자 보호 조치 필수 (비닐봉투 개별 보관, 절연 테이프 부착)
📌 기내 선반 보관 금지, 반드시 몸에 지니거나 앞좌석 주머니 보관
안전한 비행을 위해 반입 규정을 철저히 지키고, 사전에 항공사별 정책을 확인하세요.
'레이비의 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육아휴직 급여 변경사항 총정리! 지원금 최대 1년 6개월 지급 (0) | 2025.02.24 |
---|---|
테무 vs 알리익스프레스, 한국에서 직구할 때 뭐가 더 좋을까? (1) | 2025.02.23 |
최대 10만원 지원! 2025 농식품 바우처 신청 방법 및 사용처 (0) | 2025.02.17 |
대왕고래 1차 탐사 결과 사실상 실패, 2차 탐사 계획은? (0) | 2025.02.12 |
2025 AFC U-20 아시안컵 중계일정, 대한민국 대표팀 명단 총정리 (1) | 2025.02.11 |